[여의도풍향계] 과거 공식 안 통하는 대선…與野 주자 모두 '딜레마'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정치권은 이제 본격적인 대권 레이스에 돌입했죠.<br /><br />그런데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모두 이번 대선에선 과거와는 다른 정치 지형이 빚어낸 딜레마적 상황에 봉착한 걸로 보입니다.<br /><br />방현덕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내년 3월 9일 치러지는 제20대 대선.<br /><br />선거 240일 전인 내일(12일)부터 예비후보자 등록이 시작됩니다.<br /><br />여야 모두 이제 본격적인 대선 체제인데요.<br /><br />하지만 이번 대선, 과거와는 문법이 조금 다릅니다.<br /><br />최신 여론조사입니다.<br /><br />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직무 수행 평가, 여전히 40% 안팎을 유지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견고한 콘트리트 지지층이 존재하는 겁니다.<br /><br />과거 수치를 볼까요?<br /><br />임기 5년차 1분기. 비슷한 시점을 놓고 비교해봐도 문 대통령이 상당히 높습니다.<br /><br />임기말 찾아오는 권력 누수, 이른바 '레임덕'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겁니다.<br /><br />그런데 이게 민주당 주자들에겐 딜레마적인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역대 대선마다 집권 여당 후보들이 폈던<br /><br />대통령과의 차별화 전략을 구사하기 어려운 환경이 조성됐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대통령과의 차별화 전략, 보수 정권 때도,<br /><br /> "이명박 정부도 민생에 실패했습니다. 저는 과거 정권들과는 완전히 다른 세상과 정부를 만들겠습니다."<br /><br />진보 정권 때도 늘 후보들의 선택지였습니다.<br /><br />국정에 대한 여당 공동 책임론에 선을 긋고, 중도로 외연을 확장하는 효과를 노리는 겁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전례없이 대통령 지지율이 높은 상황에선 섣불리 대립각을 세울 수 없습니다.<br /><br /> "지금 상황에서는 대통령 지지율이 정당 지지율보다 조금 더 높잖아요. 이렇기 때문에 본격적으로 차별화하기에는 부담이 있는 것이죠."<br /><br />오히려 친문 지지층을 더 끌어안을 수 밖에 없습니다.<br /><br /> "대통령님께서 말씀하신 데 답이 있습니다. 부동산으로 돈을 벌지 못하게 하겠다…"<br /><br />하지만 본선에 들어가면 이야기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재보선 이후부터 이어져온 여론조사 추이로 보면 정권교체를 바라는 여론이 정권유지를 바라는 여론보다 더 클 가능성이 크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지지층만 바라보는 행보에만 집중했다간,<br /><br />자칫 정권에 비판적인 중도와 탈진보 표심을 잡는 데 한계를 드러낼 가능성이 있습니다.<br /><br />야권도 유례 없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보수 진영의 유력 대권 주자, 늘 당내에 있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지금 야권 선두 주자는 당 밖에 있습니다.<br /><br />항상 거물급 인사가 당을 장악하고 후보가 되던 보수진영.<br /><br />지금의 상황은 한 번도 못 겪어본 일입니다.<br /><br />무대에 오를 주요 배우가 극장 밖에 있는 셈인데, 정시에 막을 올리는 게 맞는지 딜레마에 빠질 수 밖에 없습니다.<br /><br />장외 대장주 윤석열 전 검찰총장 뿐 아니라, 최재형 전 감사원장이 다크호스로 떠오르고, 김동연 전 경제부총리도 두각을 나타내면서<br /><br />야권 경선 레이스의 향방은 그 어느 때보다 예측이 어렵습니다.<br /><br />국민의힘은 당밖 '블루칩'들을 모두 정시에 경선버스에 태우겠다고 공언했는데,<br /><br /> "저는 상식선에서 당연히 탑승할 거라고 봅니다…제3지대 아니면 탑승이거든요. 그러니까 저는 그 부분은 오해가 없다고 봅니다."<br /><br />바람대로 될 수 있을지는 지켜봐야 합니다.<br /><br />장외 주자들의 입장은 어떨까요?<br /><br />광야에 홀로 머물기보단 제1야당의 든든한 울타리 안으로 들어가는 게 안전한 선택일 수도 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두자릿수나 되는, 노련한 당내 주자들과 맞붙는 건 부담일 수 밖에 없습니다.<br /><br />국민의힘의 계속된 입당 러브콜에도 윤 전 총장은 시간을 더 갖겠다는 입장입니다.<br /><br />전방위 검증 압박에도 야권 지지율 선두를 지키고 있는만큼, 당장 입당할 실익이 없다는 판단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그러면서 제3지대에 머물며 몸집을 불린 뒤 11월 쯤 국민의힘과 후보 단일화를 하는 시나리오도 힘을 얻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국민의힘의 경선 버스를 타고 동행하면서 대통령 후보가 되길 원하는 건지…최종적으로 야권 후보 단일화할 때 그때 가서 단일화를 하려 하는 것인지 그건 윤석열 전 총장 개인의 결심에 달렸다…"<br /><br />변수도 있습니다.<br /><br />정치 참여를 선언한 최재형 전 감사원장이 먼저 국민의힘에 입당할 경우, 원내 세력이 그를 중심으로 집결할 가능성도 거론됩니다.<br /><br />일각에선 반대로 4·7 재보선 때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와 무소속 금태섭 전 의원처럼,<br /><br />국민의힘 밖에서 여러 장외 주자들이 경쟁하며 판을 키울 수 있다는 관측도 있습니다.<br /><br />실현 여부를 지켜봐야겠지만, 모두 보수 야권의 대선판에선 전례가 없던 일입니다.<br /><br />여당과 야당 모두 과거의 공식이 먹히지 않는 대선을 치르게 됐습니다.<br /><br />그만큼 불확실성은 큽니다.<br /><br />대선까지 남은 240여일 동안 펼쳐질 레이스는 그 결말을 쉽게 점칠 수 없는 예측 불허의 드라마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여의도 풍향계였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